반응형
아이에게 갑자기 열이 나면 당황하기 마련입니다. 하지만 열은 몸의 면역 반응 중 하나라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 응급실에 가기 전, 부모가 할 수 있는 올바른 응급처치법을 정리해봤습니다.
열의 기준과 판단 방법
의학적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경우 열(발열)로 판단합니다. 하지만 나이별로 열의 경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, 체온계로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해요.
측정 부위 | 정상 체온 | 발열 기준 |
---|---|---|
겨드랑이 | 36.5℃ | ≥ 37.5℃ |
입안(구강) | 36.8℃ | ≥ 37.8℃ |
항문(직장) | 37.0℃ | ≥ 38.0℃ |
하면 안 되는 행동들
- 두꺼운 옷을 입혀 체온을 더 올리는 것
- 찬물 샤워 or 얼음찜질 등 과도한 냉각
- 무조건 해열제부터 먹이는 행동
- 아이가 열이 있어도 평소처럼 활동시키기
- 열이 난다고 바로 응급실로 데려가기
발열은 단순한 질환이 아니라 몸의 방어 기전일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상태 파악과 올바른 응급처치가 무엇보다 중요해요.
해열 응급처치 요약
아이가 열이 날 때, 부모가 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응급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.
응급처치 | 설명 |
---|---|
미온수 마사지 |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이마, 손발, 겨드랑이 닦기 |
옷을 얇게 입히기 | 체온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기성 옷 착용 |
수분 보충 | 수시로 물이나 이온음료를 소량씩 섭취 |
충분한 휴식 | 무리한 활동은 금지, 조용한 환경 조성 |
해열제 사용 기준
- 38.5℃ 이상이면 해열제 투여 고려
- 소아용 해열제는 의사/약사 지시에 따라 용량 엄수
- 2세 이하 유아는 반드시 전문의 상담 후 사용
- 이부프로펜/아세트아미노펜 두 종류 중 1가지 선택
- 복용 후 2시간 이상 지나도 열이 안 떨어지면 병원 방문
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
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경우, 지체 없이 소아과 또는 응급실을 방문하세요:
- 3개월 미만 영아가 38℃ 이상 열
- 40℃ 이상 고열 지속
- 경련, 의식 저하, 처짐 등 이상행동
- 호흡 곤란, 입술 파래짐
-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는 열
자주 묻는 질문 (FAQ)
열이 나면 무조건 해열제를 줘야 하나요?
아니요. 아이가 힘들어할 때만 사용하고, 열 자체는 면역 반응의 일부입니다.
차가운 물수건을 이마에 올리는 게 좋을까요?
미온수(미지근한 물)로 몸 전체를 닦아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.
열이 나는데 아이가 뛰어놀아요. 괜찮은가요?
정신이 말짱하더라도 활동은 자제시키고, 휴식을 취하게 해 주세요.
해열제는 몇 시간 간격으로 줄 수 있나요?
종류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 4~6시간 간격이 권장됩니다.
열 날 때 찬바람 쐬는 건 안 좋나요?
에어컨은 직접 쐬지 않게 설정하고, 실내는 쾌적하게 유지하는 정도가 적절합니다.
맺음말
아이가 열이 날 때 부모가 느끼는 불안감은 누구나 같습니다. 하지만 당황하지 않고 정확한 체온 측정, 올바른 응급처치만 해도 많은 상황을 무리 없이 넘길 수 있습니다. 이 글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반응형